신한 월배당 etf Sol 미국 S&P500 운용 후기 분석

  매달 월세처럼 배당이 조금씩 들어오면 얼마나 좋을까요? 저는 신한 Sol 미국 S&P500을 약 50주 정도 가지고 있는데요. 주당 몇백 원 수준이지만 그래도 매달 10만 원씩 사고 있습니다. 오늘은 운용 후기와 분석 글에 대해서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

  S&P 500 뜻

  미국의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tandard & Poor's)에서 개발한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 중 시가총액 순으로 500등까지 줄 세운 다음에 그 비율에 따라서 분배하는 방식입니다. 역사적으로 연평균 수익률 약 11%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지수에 투자하는 유명 ETF가 SPY이죠.

 

  애플과 마이크로 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구글, 테슬라, 페이스북 등 전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기업들이 담겨 있죠. 시간이 지나서 시가총액이 떨어지면 그만큼 빼버리기 때문에 개인이 신경 쓸 일도 없습니다. 게다가 사우디 아람코라는 사우디 국영기업을 제외하고는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이 대부분 미국에 있습니다. 그리고 미국 전체 주식에 약 70~80퍼센트가 담겨 있으니 미국이라는 나라 전체에 투자한다고 보셔도 됩니다.

  수익률 & 오른 종목과 떨어진 종목

Sol 미국 S&P500 수익률

  2022년 6월 상장 이후 거의 20퍼 이상 올랐습니다. 2023년 6월 현재 테슬라가 전기차 충전소 통합 이슈로 계속해서 오르고 있으며 애플은 비전프로 출시 발표로 주가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수혜주 인해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 메타 등 AI관련 주가 올랐습니다. 특히 애플은 증강 현실을 대변해 주는 비전프로의 개발 발표로 인해서 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그리고 연준의 숨 고르기 이후에 금리 인상이 성장에 미치는 영향도 적고 작년에 떨어진 소비민감, 기술, 통신 등의 회사에서 수익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향후 1~2년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에 금융주는 떨어 졌습니다. 물가 상승률이 올라가고 소비가 줄어들게 되면 자영업자나 사업가들의 기업운영이 어렵게 됩니다. 게다가 금리까지 오르기 때문에 대출금 연체가 되는 사업장이 늘어나게 됩니다. 대출금 연체는 자금을 회수해야 할 은행으로서는 가장 겪고 싶지 않은 현상입니다.

 

  거기에다가 지금 미국에서는 코로나로 인해 재택 부업이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이는 건물 공실률이 늘어나게 되고 건물주가 빌린 돈을 제때 못 갚게 되면 이는 금융권 부실로 이어지게 됩니다.

 

  총 보수 비용

총 보수 비용

  총 보수는 0.05%이지만 기타 비용을 합하면 연 0.3956%인데요. 미국의 지수를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지수 사용료라는 로열티를 지급해야 합니다. 작년 6월에 상장했기 때문에 12개월에 나눠 내는 것이 아닌 6개월에 걸쳐서 나눠 낸 것이라 조금 비싼 것 같습니다. 아마 지금 가입하시면 총비용이 연 0.3% 정도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포트폴리오 및 주당 배당금

포트폴리오 및 배당금 현황

 

  대부분 IT 업종이고 헬스케어라고 해도 제약회사들이 많습니다. 익히 들어서 친숙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구글, 페이스북, 워런 버핏이 운용하는 버크셔 해셔워이, 9위에는 전기차 회사인 테슬라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가장 우량한 회사에 투자하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당 배당금입니다. 거진 0.1%를 매달 준다고 보면 됩니다. 만원에 10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매달 스타벅스에서 아메리카노 한잔을 사 먹으려면 최소 450만 원은 있어야 가능하다는 뜻이죠.

 

 

  매월 배당금이 들어오고 또한 계속해서 배당금이 올라가기 때문에 오래 묵히면 묵힐수록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3년 이상 가지고 가실 생각이 없으시면 이런 ETF는 변동성이 심하기 때문에 고금리 적금 상품에 가입하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배당도 적금보다 더 적은 금액으로 주는 것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분배금으로 돈을 번다라기보다는 꾸준히 적립식으로 불입하면서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것에 의의를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